'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71건

  1. 2012.12.03 Windows 7과 2008 R2를 통합해보다
  2. 2012.11.25 첫번째 솔캠 (노을캠핑장)
  3. 2012.11.22 PC수리
  4. 2012.11.22 솔캠해보기로 하다..
  5. 2012.11.13 SSH 설정
  6. 2012.11.04 [2008 R2] RemoteFX 구현
  7. 2012.10.14 121013 테이큰2
  8. 2012.10.14 [Centos]텔넷
  9. 2012.10.12 [Centos] FTP 설치 (vsftp)
  10. 2012.09.10 20120831 이웃사람
posted by 떠돌이늑대 2012. 12. 3. 01:00

우선 인터넷의 힘은 위대하고 정말 많은 정보가 흘러다닌다~

 

스누피 블로그를 통해 Windows 7 과 2008 R2를 통합을 했다. 잘 되었던 것도 있고, 안되었던 부분이 있다.

 

32bit용과 64bit용을 통합해봤다. 통합 자체는 잘된다, 하지만 통합하고 나서 설치가 되고 난후가 문제가 된다.

무슨 문제냐 하면, 서버나 웍을 보면, Raid나 AHCI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드라이버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boot.wim 파일에 내가 많이 다루는 Raid 컨트롤러와 인텔 AHCI 드라이버등을 추가해주었다. 그래야만 하드디스크가 보이니깐..

 

64bit 윈도우를 설치하고 나면 정상적인 부팅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유인즉 드라이버가 잘못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온다. 왜 그럴까 , install.wim 에 64bit용 드라이버를 정상적으로 추가해주었는데 왜 그렇지? 라는 의구심을 가지고 테스트를 해보다 파일복사가 다 되고 난 후, 부팅시키지 않고, 다른 PC를 통해 안의 내용물을 보니 32 bit용 드라이버가 있는 것이 아닌가? 32bit 용과 64 bit용 두가지 모두 들어있었고, 32bit용 드라이버로 작동을 하다보니 드라이버가 잘못되었다는 메세지가 뜨면서 윈도우 진입이 안되었던것이다.  그래서 32bit용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그 위치에 64bit 드라이버를 가져다 놓으니 정상적인 윈도우 진입이 되었다.

 

32bit 윈도우를 설치를 할 때는 이상이 없지만, 64bit 윈도우를 설치를 하게 되면서 문제점을 알게 된것이다. 몇번 설치를 진행을 해 본 결과 저장소 드라이버가 항상 따라 들어간다는 것이다. boot.wim에 설치가 되어서 인식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가 된다면 그 드라이버가 같이 들어가 버린다는 결론을 내렸다. boot.wim 파일이 32bit라면 32bit 드라이버가 따라 들어가고, 64bit용 boot.wim 파일이라면 64bit 드라이버가 따라 들어간다는 것이다.

 

결국 boot.wim 파일을 64bit로 바꾸니 64bit 윈도우는 이상없이 정상적으로 윈도우 진입이 되었다.

 

드라이버가 따라 들어간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던 두번째 이유는 install.wim에 아무런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고

윈도우 설치를 진행했다. 설치가 된후 장치관리자를 살펴보면, 저장소컨트롤러나 AHCI가 제대로 잡혀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64bit용과 32bit용을 따로 분리를 해서 만들려고 한다.

64bit용은 만들어놨다. 익스플로러9와 영어언어팩을 추가했다.

 

 

 

*내가 했던 작업  boot.wim에 요새 나오는 USB 3.0 드라이버들을 추가해놨다. 6~7개의 드라이버를 추가한것 같은데..

아이오드를 통해서 테스트를 해본 결과 USB 2.0에 비해서 파일복사는 1~2분정도 더 빠른것 같다. 하드디스크 전송속

도를 감안하면 아이오드에 SSD를 넣어본다면, 파일복사가 비약적으로 빨라지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스누피블로그에는 영문판을 기준으로 한글언어팩을 추가해주는 것으로 작업을 진행했고, 나는 한글판에 영어언어팩을

추가했다.  잘 작동된다.

영어언어팩 파일은 윈도우7 SP1 용과 2008 R2 SP1 용이 다르다. 언어팩 번호는 같지만 대소문자로 구분하고 있으며, 파일용량이 다르다.

서비스팩 파일은 윈도우 7과 2008 R2 가 동일하다.

 

'컴이야기 > 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vidia Quadro K2000D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  (0) 2014.01.28
PC수리  (0) 2012.11.22
posted by 떠돌이늑대 2012. 11. 25. 17:07

23일 저녁 퇴근 후 바로 노을캠핑장으로 향한다.

겨울산행과 비박을 해보기전 맛보기랄까..

챙긴다 챙긴다 했어도 부족한게 무엇인지.. 직접 체험하며 알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다.

퇴근후부터 노을캠핑장까지 약 2시간이 걸렸다. 마포구청역에서 내려 걸어서 갔기 때문이다.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고, 짐무게도 힘들게 느껴졌다.

다음부터는 화롯대와 삼각대는 꼭 빼고 가야겠다.


3계절용 침낭과 여름침낭가지고는 참 춥다.ㅋㅋㅋ

공기층을 많이 만들면 좋다는건 알아가지고는 무모하게 도전해봤다.

물론 내복을 입었고, 깔깔이를 입고 잤지만 겨울의 한기를 몸소 체험할수 있었다.

다음날 일어났을 때 텐트위에는 하얗게 서리가 내려있었다.

기상청 날씨를 조회해보니 서울의 날씨는 약 영하2도까지 떨어졌다. 영하2도의 날씨도 춥게 잤다고 느껴졌으니

가장 먼저 침낭이 시급하다!!

 

집에서 약간의 잡곡쌀을 가지고 갔는데... 잡곡 가져가면 안되겠더라.

안익어..ㅜㅜ

쌀은 대충 익은 것 같던데 다른 잡곡들이 안익어서 꼭꼭 씹어 먹어야만 했다.

아 그러고보니 연료의 문제가 있다. 부탄가스가 추워지면 안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어느정도일까 궁금하기도 했다.

동계용 부탄가스를 사용하거나 열을 다시 가스통에 전달해주는 장치(?)가 있어야만 할것 같다.

그리고 장갑이 필요하다. 맨손으로 하다보니 손이 너무 시리더라.

망치를 안가져갔었다. 전날 짐챙기기 전에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챙기기 시작하면서 까먹었다.

다행히 노을캠핑장은 잔디밭이라서 손으로 눌러도 어느정도 들어는 가더라. 큰일 날뻔 했다. ㅋㅋㅋ


타프까지 쳐볼생각이었지만 등산용 스틱가지고 어떻게 세울까? 하고 설치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타프의 구멍과 등산스틱의 끝이 크기가 맞질 않았다.

갔다와서 생각해보니 내 등산배낭과 등산스틱에 무려 4개의 비너가 놀고 있었던것이다. 왜 이걸 생각하지 못했을까.. 추워서 그랬을거다. 다음엔

타프까지 설치해봐야지~

 

아.. 맞다. 자충식 에어배게도 써보았는데 이놈이 말이지 침낭안에서 쓰던가 해야지 바깥에다 두고 쓰니깐 자꾸 미끄러져 나가버린다. ㅋㅋㅋ

 


정리하자면

필요했던것 : 망치. 동계용침낭, 팩, 동계용 연료 또는 장치, 장갑, 시계, 온도계

'여행이야기 > 솔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비물  (0) 2017.06.17
평창준비  (0) 2017.06.15
다시한번 준비  (0) 2017.05.18
121229 함허동천  (0) 2012.12.25
솔캠해보기로 하다..  (0) 2012.11.22
posted by 떠돌이늑대 2012. 11. 22. 02:26

1, 전원버튼을 눌렀음에도 전원이 안켜진다.

 

-> 전원버튼, 메인보드, 파워서플라이 쪽으로 좁혀진다.

 

 

2, 몇번 누르거나 오랫동안 누르면 될때도 있다.

 

-> 파워서플라이 또는 전원버튼

 

   파워서플라이 내부의 캐패시터들이 부풀어 오르거나 터진 경우가 대부분, 터진 캐패시터를 교체하거나

   파워서플라이를 교체

 

   전원버튼이 불량인 경우도 있다. 메인보드의 전원버튼 연결부분을 바로 쇼트시켜보자. 켜진다면

   버튼 문제이겠지. 리셋버튼이 있는 케이스라면 리셋버튼과 교체 해버리면.. 되겠지.. 물론 다음부터는

   리셋버튼은 작동안하겠지만..

     

'컴이야기 > 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vidia Quadro K2000D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  (0) 2014.01.28
Windows 7과 2008 R2를 통합해보다  (0) 2012.12.03
posted by 떠돌이늑대 2012. 11. 22. 02:14

이것저것 준비해본다. 텐트, 타프, 매트, 침낭, 버너, 랜턴 등등

'여행이야기 > 솔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비물  (0) 2017.06.17
평창준비  (0) 2017.06.15
다시한번 준비  (0) 2017.05.18
121229 함허동천  (0) 2012.12.25
첫번째 솔캠 (노을캠핑장)  (0) 2012.11.25
posted by 떠돌이늑대 2012. 11. 13. 09:44

기본적으로 ssh 포트는 방화벽에서 허용이 되어있다. 22번 포트

 

vi /etc/ssh/sshd_config 에서 포트 번호부분에서 #를 삭제해주면 된다. 

 

 

 

*putty로 접속하다 보니 

 

'네트워크 에러: 소프트웨어적인 접속중단입니다. '

 

이러한 메세지가 뜨면서 접속이 안된 경우가 있었다.

 

윈도우 사용자 계정밑에 보면  putty.rnd 라는 것을 삭제해보자. 

 

구글에서는 Documents and setting  이나 Program Files   밑에 putty 관련 파일이 숨김파일 형태로 있으니

 

삭제해보라고 했다. 그래서 사용자 계정 폴더로 들어간다음 putty.rnd 라는 파일을 지우니 다시 접속이 가능해졌다.

'컴이야기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CE가 되기위한 과정  (0) 2016.10.18
RHEL에서 윈도우 공유 폴더 연결  (0) 2015.09.08
우분투 LTS의 LTS란  (0) 2013.11.03
[Centos]텔넷  (0) 2012.10.14
[Centos] FTP 설치 (vsftp)  (0) 2012.10.12
posted by 떠돌이늑대 2012. 11. 4. 13:00

RDP 7.1 이상에서만 가능 RDP 7.1은 Windows Server 2008 R2 SP1 이거나 Windows 7 SP1에서 제공

 

2008 R2에서 구현하려면 역할 추가에서 원격데스크탑 기능을 추가 , 이 역할을 추가하게 되면 Hyper-V 도 추가가 된다.

 

가상컴퓨터 OS는 Windows 7 Ultimate SP1 이거나 Windows 7 Enterprise SP1 이여야 한다. 가상컴퓨터에서 장치추가를 통해 RemoteFx 3D 어댑터를 추가해주면 된다.

 

원격을 허용하는 컴퓨터에서는 로컬그룹편집기에서 RemoteFx기능을 사용함으로 해주어야 한다.

 

(컴퓨터구성-관리템플릿-Windows 구성요소-터미널 서비스-원격 데스크톱 세션 호스트-원격 세션 환경)

 

 

클라이언트측에서는 RDP 7.1을 사용하는 RDC를 사용하면 되는데 Windows Vista SP1,SP2 에서도 사용할수 있다고,

 

Windows XP SP3에서도 RDP7.1가 설치되어있다면 연결할 수 있다 한다. 하지만 공식적으로 배포되진 않는 것 같고,

 

Windows Server 2008 R2 SP1 beta에서 제공이 된다고 하는데, 어떤 방법으로 제공이 되는지는 찾기가 힘들다.

 

'컴이야기 > windows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mote desktop 연결 오류  (0) 2017.02.02
Windows Server 2012 R2 주요 기술  (0) 2016.10.17
WDS와 업데이트 통합  (0) 2014.11.06
윈도우배포서비스 WDS  (0) 2013.06.27
posted by 떠돌이늑대 2012. 10. 14. 19:11

 

찾지 말아야했지

'영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 파파로티  (0) 2013.04.28
130209 베를린  (0) 2013.02.10
20120831 이웃사람  (0) 2012.09.10
프로메테우스  (0) 2012.06.07
다크섀도우  (0) 2012.05.13
posted by 떠돌이늑대 2012. 10. 14. 19:01

Centos 6.3 minimal 설치후

 

yum -y install telnet-server

 

실행

 

설치 완료 후

 

방화벽 설정 23번포트 열어주기

 

service iptables restart

 

vi /etc/xinetd.d/telnet 

 

에서 마지막문구를 yes에서 no로 바꿔주고 저장

 

service xinetd start

 

루트계정 접속허용하기 위해서는

 

mv /etc/securetty /etc/securetty.old

'컴이야기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CE가 되기위한 과정  (0) 2016.10.18
RHEL에서 윈도우 공유 폴더 연결  (0) 2015.09.08
우분투 LTS의 LTS란  (0) 2013.11.03
SSH 설정  (0) 2012.11.13
[Centos] FTP 설치 (vsftp)  (0) 2012.10.12
posted by 떠돌이늑대 2012. 10. 12. 20:22

centos 6.3 x64

 

minimal server 설치

 

설치 완료 후

 

루트 계정 로그인

 

yum -y install vsftpd

 

방화벽설정

 

yum -y install system-config-firewall

설치 완료후

 

system-config-firewall-tui

 

FTP 포트 활성화

 

방화벽 재시작

 

service iptables restart

 

setsebool -P ftp_home_dir=1

 

service vsftpd restart

 

 

'컴이야기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CE가 되기위한 과정  (0) 2016.10.18
RHEL에서 윈도우 공유 폴더 연결  (0) 2015.09.08
우분투 LTS의 LTS란  (0) 2013.11.03
SSH 설정  (0) 2012.11.13
[Centos]텔넷  (0) 2012.10.14
posted by 떠돌이늑대 2012. 9. 10. 21:16

 

'영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0209 베를린  (0) 2013.02.10
121013 테이큰2  (0) 2012.10.14
프로메테우스  (0) 2012.06.07
다크섀도우  (0) 2012.05.13
어벤져스  (0) 2012.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