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_utl_asu_asut86d-9.63_windows_x86-64.exe
파일을 실행하면 압축이 풀리면서 새로운 실행파일이 생긴다.
사용법
명령프롬프트에서
asu64.exe set system_prod_data.sysinfoprodname 장비머신타입
asu64.exe set system_prod_data.sysinfoserialnum 장비시리얼번호
ibm_utl_asu_asut86d-9.63_windows_x86-64.exe
파일을 실행하면 압축이 풀리면서 새로운 실행파일이 생긴다.
사용법
명령프롬프트에서
asu64.exe set system_prod_data.sysinfoprodname 장비머신타입
asu64.exe set system_prod_data.sysinfoserialnum 장비시리얼번호
2012 R2의 윈도우 배포서비스(WDS) 는 2008R2에 비해 달라진점이 있다면 독립실행형이 가능하다고 한다.
2008R2의 경우 액티브디렉토리(AD)를 구성해야지만 WDS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2012R2는 AD를 구성하지 않아도 WDS를 사용할 수 있다.
2012R2의 WDS를 사용하고 그동안 업데이트 항목들을 각 이미지에 추가하여 좀 더 빠른 세팅을 하기 위해
https://catalog.update.microsoft.com/v7/site/home.aspx
에서 업데이트 항목을 운영체제별로 검색하여 다운로드 하였다.
각 이미지들에 업데이트를 적용하기 위해서 가상컴퓨터에서 순수하게 운영체제만을 설치한 다음
제일 처음 윈도우 업데이트부터 진행하면서 어떤 업데이트를 하는지 살펴보고 중요업데이트 부분을 위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하였다.
예전에는 운영체제 업데이트 목록을 일일히 적거나 복사를 했는데 오래된 운영체제의 경우 업데이트 항목이 많다보니
적기도 어렵고 제대로 적었는지 확인하기도 어려웠다.
그래서 업데이트 항목을 모두 선택한다음 세부내용 복사를 눌러 메모장으로 옮겨놓았고, 이것을 다시
명령프롬프트를 실행 findstr 를 이용해 업데이트 항목 번호를 따로 정리하였다.
findstr /i "(kb.*)" 문서경로 > 따로저장할 문서의 제목
Ex) findstr /i "(kb.*)" c:\2012update.txt > 2012.txt
Remote desktop 연결 오류 (0) | 2017.02.02 |
---|---|
Windows Server 2012 R2 주요 기술 (0) | 2016.10.17 |
윈도우배포서비스 WDS (0) | 2013.06.27 |
[2008 R2] RemoteFX 구현 (0) | 2012.11.04 |
x3650 m4 장애처리 과정
윈도우 서버가 설치된 장비였는데 부팅속도도 엄청느리고 프로그램실행속도도 엄청 느려서 장애처리 요청이 들어왔다.
하지만 찾아갔을 때 정상적인 부팅이 되었고 여러차례 부팅을 해도, 전원종료를 하고 시간을 두고 여러차례 부팅을
해도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어 정상이라고 판단이 되어 철수를 하였고, 그 시간은 약 1시간 30여분 정도가 소요가 되었다.
열흘후 다시 이상증상이 있다고 연락이 와서 다시 한번 점검을 하게 되었고, 그 때는 IBM측과 같이 동행하여 증상을 확인하였다. 우선 OS 부팅이 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여서 OS 문제인지 판단하기 위해 Windows PE로 부팅을 시도
부팅이 되었다. 그러면 OS 문제일 것이라 판단하여 사용자측에 말씀을 드리고 OS 재설치를 하기로 하였고,
ServerGuide 를 통해 설치를 진행하려했으나 ServerGuide 역시 엄청나게 느리면서 부팅이 잘 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래서 IBM엔지니어는 USB메모리를 꽂고 펌웨어업데이트 작업을 하려했으나 USB메모리를 꽂는 순간 엄청난 딜레이 현상이 나타났고, USB메모리를 다시 빼면 그동안 키보드 동작한것들이 움직이는 증상을 보게 되어 보드교체를 진행
그 이후로는 정상적인 부팅과정을 거쳐서 운영체제까지 설치를 하였다.
IMM 이벤트 로그에는 전혀 이상이 없고 내 USB CD-ROM역할을 하는 iodd를 꽂아도 멈추거나 딜레이 되는 현상이
없었기에 보드 교환을 전혀 생각지 못했었고 보드교체라는 판단을 내리기 까지 약 2시간정도 소요가 되었다.
백업을 생각해보다. (0) | 2017.03.16 |
---|---|
LTO TAPE (0) | 2016.07.13 |
IBM 장비의 QR코드 (0) | 2014.03.12 |
[문제해결] Error loading operaiting system (0) | 2013.05.09 |
요새 나오는 IBM 서버를 보면 QR코드도 있다. 스캐너로 읽어보니 그안에 머신타입 시리얼번호등이 입력되어있는 듯하다.
하나만 찍어봐서는 몰랐는데, 다른 기종을 찍어보니 이제는 어떤부분이 머신타입인지 시리얼번호인지가 확인이 된다. IBM문서에서 QR코드에 대해서 나온것을 PDF 파일로 본 것 같은데 어떤 문서인지 기억이 나질 않아 구글링에도 찾기가 어렵고 그래서 다른 장비가 있길래 비교를 해보았다. IBM 고객지원센터도 QR코드에 대해서 알지 못하더라..
0631PxxxxxxxSxxxxxxx3Vxxxxxx1Pxxxxxxx
System X 서버의 경우 QR코드가 위처럼 나온다.
0631P는 머신타입
S 시리얼번호
3V는 EID
1P는 PID를 뜻한다고 한다.
*결국 찾아냈다. IBM EID PID 라고 검색을 하니 IBM 글로벌 라벨링 이라는 문서가 검색이 된다.
31P : Machine type is IBM’s standard method to identify a product family. The Model is a
variation of a machine type. This element is required.
S : All assets that require asset tagging will have a serial number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product, when matched with the machine type model or the product ID. The serial number
must be included on the Asset Tag
3V : The EID is a unique code assigned to IBM by an independent organization. For this purpose,
the company identifier assigned by GS1-US is required to be used globally for IBM branded
products. The number shown in the example column is the correct EID value
1P : A Product ID identifies a fixed configuration of a machine type. This element is required in addition
to machine type model if a Product ID is assigned
그럼 06이라는 숫자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백업을 생각해보다. (0) | 2017.03.16 |
---|---|
LTO TAPE (0) | 2016.07.13 |
[IBM] System x3650 M4 (0) | 2014.03.21 |
[문제해결] Error loading operaiting system (0) | 2013.05.09 |
Nvidia Qaudro K2000D 의 스펙을 찾아보니 최대 가능한 디스플레이 수가 4개로 나왔다.
단순히 보기에는 3개밖에 안보이는데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져서 자세히 살펴보니
Displayport 1.2 Hub 를 사용하면 이라는 조건이 붙었다.
밑에 사진들이 디스플레이포트 허브들이다. 우리나라에는 제품이 없는 것 같고 아마존에서 검색해보니
아래에 제품들이 나왔다 가격대는 80~150불 사이이다.
Windows 7과 2008 R2를 통합해보다 (0) | 2012.12.03 |
---|---|
PC수리 (0) | 2012.11.22 |
LTS (Long Term Support ) 이다. 2년마다 출시되는 버전에 LTS 가 붙으면 말그대로 장기간 지원이다.
데스크탑용은 3년이며 서버용은 5년이다. 12.04의 경우 데스크탑도 5년지원으로 늘어났다.
RHCE가 되기위한 과정 (0) | 2016.10.18 |
---|---|
RHEL에서 윈도우 공유 폴더 연결 (0) | 2015.09.08 |
SSH 설정 (0) | 2012.11.13 |
[Centos]텔넷 (0) | 2012.10.14 |
[Centos] FTP 설치 (vsftp) (0) | 2012.10.12 |
윈도우배포서비스를 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네트워크 드라이버포함여부이다.
여러시스템의 랜카드가 다르다 보니 부팅이미지에서 잡지 못하는 랜카드는 어김없이 윈도우배포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다고 나온다.
윈도우 배포서비스에서 여러가지 부팅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vista와 2008용 부팅이미지 7과 2008r2용 부팅이미지, 8과 2012용 부팅이미지를 쓰고 있다.
비슷할 것 같은 부팅이미지들이고 다른버전의 운영체제를 설치를 하더라도 문제없이
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간간히 드라이버호환성 때문에 가급적이면 부팅이미지는 저렇게 나누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vista와 2008에서는 vista sp1 과 2008을 위한 AIK를 설치를 한다음
명령프롬프트에서
imagex /mountrw [wim 파일 경로] [인덱스번호] [마운트할 경로]
peimg.exe /inf=[드라이버경로\*.inf] [마운트폴더\windows]
imagex /unmount /commit [마운트경로]
7과 2008r2 8과 2012는
명령프롬프트에서
dism /mount-wim /wimfile:[경로wim파일] /index:[이미지번호] /mountdir:[마운트경로]
dism /image:[마운트경로] /add-driver:[드라이버를 포함한폴더]
dism /unmount-wim /mountdir:[마운트경로] /commit
dism의 장점은 한번에 여러 드라이버를 추가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버와 저장소 컨트롤러 드라이버등을 추가해주면 손쉽게 CD나 DVD USB가
없더라도 네트워크로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다.
Remote desktop 연결 오류 (0) | 2017.02.02 |
---|---|
Windows Server 2012 R2 주요 기술 (0) | 2016.10.17 |
WDS와 업데이트 통합 (0) | 2014.11.06 |
[2008 R2] RemoteFX 구현 (0) | 2012.11.04 |
HP ML330 G6 P410 컨트롤러에 2개의 하드디스크를 Raid 1 로 구성
고스트 복사 이후 Error loading operating system 이란 메세지를 출력하면서
부팅불가
스마트CD를 이용해서 재 인스톨과정을 거치고, 윈도우즈 설치파일 복사 시 다시 한번 파일복사 오류.
해결 : P410 컨트롤러로 들어가 Raid 구성을 다 삭제 재구성, 스마트스타트CD를 이용 다시 인스톨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설치 구성완료
백업을 생각해보다. (0) | 2017.03.16 |
---|---|
LTO TAPE (0) | 2016.07.13 |
[IBM] System x3650 M4 (0) | 2014.03.21 |
IBM 장비의 QR코드 (0) | 2014.03.12 |
우선 인터넷의 힘은 위대하고 정말 많은 정보가 흘러다닌다~
스누피 블로그를 통해 Windows 7 과 2008 R2를 통합을 했다. 잘 되었던 것도 있고, 안되었던 부분이 있다.
32bit용과 64bit용을 통합해봤다. 통합 자체는 잘된다, 하지만 통합하고 나서 설치가 되고 난후가 문제가 된다.
무슨 문제냐 하면, 서버나 웍을 보면, Raid나 AHCI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드라이버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boot.wim 파일에 내가 많이 다루는 Raid 컨트롤러와 인텔 AHCI 드라이버등을 추가해주었다. 그래야만 하드디스크가 보이니깐..
64bit 윈도우를 설치하고 나면 정상적인 부팅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유인즉 드라이버가 잘못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온다. 왜 그럴까 , install.wim 에 64bit용 드라이버를 정상적으로 추가해주었는데 왜 그렇지? 라는 의구심을 가지고 테스트를 해보다 파일복사가 다 되고 난 후, 부팅시키지 않고, 다른 PC를 통해 안의 내용물을 보니 32 bit용 드라이버가 있는 것이 아닌가? 32bit 용과 64 bit용 두가지 모두 들어있었고, 32bit용 드라이버로 작동을 하다보니 드라이버가 잘못되었다는 메세지가 뜨면서 윈도우 진입이 안되었던것이다. 그래서 32bit용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그 위치에 64bit 드라이버를 가져다 놓으니 정상적인 윈도우 진입이 되었다.
32bit 윈도우를 설치를 할 때는 이상이 없지만, 64bit 윈도우를 설치를 하게 되면서 문제점을 알게 된것이다. 몇번 설치를 진행을 해 본 결과 저장소 드라이버가 항상 따라 들어간다는 것이다. boot.wim에 설치가 되어서 인식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가 된다면 그 드라이버가 같이 들어가 버린다는 결론을 내렸다. boot.wim 파일이 32bit라면 32bit 드라이버가 따라 들어가고, 64bit용 boot.wim 파일이라면 64bit 드라이버가 따라 들어간다는 것이다.
결국 boot.wim 파일을 64bit로 바꾸니 64bit 윈도우는 이상없이 정상적으로 윈도우 진입이 되었다.
드라이버가 따라 들어간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던 두번째 이유는 install.wim에 아무런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고
윈도우 설치를 진행했다. 설치가 된후 장치관리자를 살펴보면, 저장소컨트롤러나 AHCI가 제대로 잡혀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64bit용과 32bit용을 따로 분리를 해서 만들려고 한다.
64bit용은 만들어놨다. 익스플로러9와 영어언어팩을 추가했다.
*내가 했던 작업 boot.wim에 요새 나오는 USB 3.0 드라이버들을 추가해놨다. 6~7개의 드라이버를 추가한것 같은데..
아이오드를 통해서 테스트를 해본 결과 USB 2.0에 비해서 파일복사는 1~2분정도 더 빠른것 같다. 하드디스크 전송속
도를 감안하면 아이오드에 SSD를 넣어본다면, 파일복사가 비약적으로 빨라지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스누피블로그에는 영문판을 기준으로 한글언어팩을 추가해주는 것으로 작업을 진행했고, 나는 한글판에 영어언어팩을
추가했다. 잘 작동된다.
영어언어팩 파일은 윈도우7 SP1 용과 2008 R2 SP1 용이 다르다. 언어팩 번호는 같지만 대소문자로 구분하고 있으며, 파일용량이 다르다.
서비스팩 파일은 윈도우 7과 2008 R2 가 동일하다.
Nvidia Quadro K2000D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 (0) | 2014.01.28 |
---|---|
PC수리 (0) | 2012.11.22 |
1, 전원버튼을 눌렀음에도 전원이 안켜진다.
-> 전원버튼, 메인보드, 파워서플라이 쪽으로 좁혀진다.
2, 몇번 누르거나 오랫동안 누르면 될때도 있다.
-> 파워서플라이 또는 전원버튼
파워서플라이 내부의 캐패시터들이 부풀어 오르거나 터진 경우가 대부분, 터진 캐패시터를 교체하거나
파워서플라이를 교체
전원버튼이 불량인 경우도 있다. 메인보드의 전원버튼 연결부분을 바로 쇼트시켜보자. 켜진다면
버튼 문제이겠지. 리셋버튼이 있는 케이스라면 리셋버튼과 교체 해버리면.. 되겠지.. 물론 다음부터는
리셋버튼은 작동안하겠지만..
Nvidia Quadro K2000D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 (0) | 2014.01.28 |
---|---|
Windows 7과 2008 R2를 통합해보다 (0) | 2012.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