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이야기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EL 7.x YUM DVD (0) | 2016.11.14 |
---|---|
RHCE가 되기위한 과정 (0) | 2016.10.18 |
우분투 LTS의 LTS란 (0) | 2013.11.03 |
SSH 설정 (0) | 2012.11.13 |
[Centos]텔넷 (0) | 2012.10.14 |
RHEL 7.x YUM DVD (0) | 2016.11.14 |
---|---|
RHCE가 되기위한 과정 (0) | 2016.10.18 |
우분투 LTS의 LTS란 (0) | 2013.11.03 |
SSH 설정 (0) | 2012.11.13 |
[Centos]텔넷 (0) | 2012.10.14 |
LTS (Long Term Support ) 이다. 2년마다 출시되는 버전에 LTS 가 붙으면 말그대로 장기간 지원이다.
데스크탑용은 3년이며 서버용은 5년이다. 12.04의 경우 데스크탑도 5년지원으로 늘어났다.
RHCE가 되기위한 과정 (0) | 2016.10.18 |
---|---|
RHEL에서 윈도우 공유 폴더 연결 (0) | 2015.09.08 |
SSH 설정 (0) | 2012.11.13 |
[Centos]텔넷 (0) | 2012.10.14 |
[Centos] FTP 설치 (vsftp) (0) | 2012.10.12 |
기본적으로 ssh 포트는 방화벽에서 허용이 되어있다. 22번 포트
vi /etc/ssh/sshd_config 에서 포트 번호부분에서 #를 삭제해주면 된다.
*putty로 접속하다 보니
'네트워크 에러: 소프트웨어적인 접속중단입니다. '
이러한 메세지가 뜨면서 접속이 안된 경우가 있었다.
윈도우 사용자 계정밑에 보면 putty.rnd 라는 것을 삭제해보자.
구글에서는 Documents and setting 이나 Program Files 밑에 putty 관련 파일이 숨김파일 형태로 있으니
삭제해보라고 했다. 그래서 사용자 계정 폴더로 들어간다음 putty.rnd 라는 파일을 지우니 다시 접속이 가능해졌다.
RHCE가 되기위한 과정 (0) | 2016.10.18 |
---|---|
RHEL에서 윈도우 공유 폴더 연결 (0) | 2015.09.08 |
우분투 LTS의 LTS란 (0) | 2013.11.03 |
[Centos]텔넷 (0) | 2012.10.14 |
[Centos] FTP 설치 (vsftp) (0) | 2012.10.12 |
Centos 6.3 minimal 설치후
yum -y install telnet-server
실행
설치 완료 후
방화벽 설정 23번포트 열어주기
service iptables restart
vi /etc/xinetd.d/telnet
에서 마지막문구를 yes에서 no로 바꿔주고 저장
service xinetd start
루트계정 접속허용하기 위해서는
mv /etc/securetty /etc/securetty.old
RHCE가 되기위한 과정 (0) | 2016.10.18 |
---|---|
RHEL에서 윈도우 공유 폴더 연결 (0) | 2015.09.08 |
우분투 LTS의 LTS란 (0) | 2013.11.03 |
SSH 설정 (0) | 2012.11.13 |
[Centos] FTP 설치 (vsftp) (0) | 2012.10.12 |
centos 6.3 x64
minimal server 설치
설치 완료 후
루트 계정 로그인
yum -y install vsftpd
방화벽설정
yum -y install system-config-firewall
설치 완료후
system-config-firewall-tui
FTP 포트 활성화
방화벽 재시작
service iptables restart
setsebool -P ftp_home_dir=1
service vsftpd restart
RHCE가 되기위한 과정 (0) | 2016.10.18 |
---|---|
RHEL에서 윈도우 공유 폴더 연결 (0) | 2015.09.08 |
우분투 LTS의 LTS란 (0) | 2013.11.03 |
SSH 설정 (0) | 2012.11.13 |
[Centos]텔넷 (0) | 2012.10.14 |